[외교부] 한-아프리카 포럼

2006년 노무현 대통령 아프리카 순방 계기 발표된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의거, 한국과 아프리카간 실질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나가고자 설립되었으며, 3-5년 주기로 한국과 아프리카 연합(AU) 공동주최로 개최되고 있음. 현재까지 2006년, 2009년, 2012년, 2016년 총 4차례 개최되었음.

구분 일시 장소 주제 참가국 문서
1차 2006.11.8. 서울 상호 이해 증진과 새로운 협력관계 및 발전 방안 총 25개국 / 정상 5개국, 장관급 10개국 Link
2차 2009.11.23.-25. 서울 새로운 파트너십 : 녹색성장, 지속가능개발 총 15개국 / 정상 1개국, 장관급 12개국 Link
3차 2012.10.16.-18. 서울 개발협력, 통상투자, 평화안보 총 18개국 / 정상 1개국, 장관급 11개국 Link
4차 2016.12.6.-7.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평화안보, 경제개발 총 14개국 /
장관급 4개국
Link
5차 2022.3.2.-3. 서울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시대 한-아프리카 협력 강화 총 10개국 /
장관급 3개국
Link
6차 2024.06.04.-05. 일산 킨텍스 및 서울 함께 만드는 미래: 동반 성장, 지속가능성 그리고 연대 총 48개국 /
정상 24개국, 장관급 24개국
Link

[기획재정부] 한-아프리카 경제협력회의(KOAFEC)

KOAFEC(Korea Africa Economic cooperation Conference)는 2006년 출범한 한ㆍ아프리카 간 경제협력 협의체. 2년마다 열리는 장관급 회의와 운영기구인 KOAFEC 자문단 및 사무국(기획재정부ㆍ아프리카개발은행ㆍ한국수출입은행)으로 조직돼 있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 경제발전 경험 전수, 인프라 및 자원개발, IT, 인력개발 등의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발굴해 추진하는 성과 지향적 경제협력 협의 채널이다.

일시 주제 참가 파일
1차 2006.04.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한국 이니셔티브 총 15개국 / AfDB 총재
2차 2008.10.28. 한국과 아프리카간 경제협력의 시너지효과 제고
(Fostering Synergies between Korea and Africa)
총 21개국 중 장관급 22명 / AfDB 총재, UN ECA 의장 File
3차 2010.09.15. 한국과 함께 떠오르는 아프리카
(Rising Africa, Together with Korea)
총 35개국 중 장관급 30명, 차관급 7명 / AfDB 총재, UN ECA 사무총장, AEDA 사무총장, 아프리카 수출입은행장 File 1
File 2
File 3
4차 2012.10.15.
-10.18.
포용적 성장
(Inclusive Growth)
총 35개국 중 장관급 29명, 차관급 7명 / AfDB 총재, 아프리카수출입은행장, ADEA 사무총장 File 1
File 2
File 3
5차 2016.10.24.
-10.27.
제5차 한-아프리카 경제협력(KOAFEC) 장관급 대표회의 총 41개국 / AfDB 총재 및 ADEA, AMU, UNECA, COMESA 대표, 아프리카 민간기업 20개사 CEO File 1
File 2
File 3
6차 2018.05.22. 아프리카와 4차 산업혁명: 혁신성장의 기회인가?
(Africa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Opportunities for leapfrogging?)
총 40개국 / AfDB 총재, 美 국제개발처장, 아프리카 민간기업 18개사 CEO File
7차 2023.09.12. 지속가능한 미래의 구현: 아프리카의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과 농업 혁신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Future: Africa's Just Energy Transition and Agricultural Revolution)
총 38개국 중 장관급 18명, 차관급 20명 File 1
File 2

한-아프리카 산업협력 포럼

파일명 날짜 파일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1차 2008.09.05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2차 2009.09.09.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3차 2010.10.27.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4차 2011.10.26.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5차 2012.10.15.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6차 2013.10.17.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7차 2014.10.20.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8차 2015.10.21. Download
[한-아프리카 산업협력포럼] 9차 2016.12.13. Download
[한-아프리카 통상산업협력포럼] 10차 2023.03.20. Download
[2차 한-아프리카 통상산업협력포럼] 11차 2023.12.20. Download

아프리카 순방(정상회담)

정부 방문국 일시 회담자 회담내용
노무현 이집트 2006.03.06.-09. 무하마드 호스니 무바라크
Muhammad Hosni Mubarak
인터넷, 이동통신,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기술(DMB) 및 휴대 인터넷(WiBro) 등 분야에서의 협력 에너지 개발사업과 석유화학 시설 등 대형 건설 및 플랜트 분야에 한국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한 협력
나이지리아 2006.03.09.-11. 올루세군 오바산조
Olusegun Obasanjo
에너지·자원 분야와 IT산업 분야의 실질협력 강화 에너지 관련 각서 체결, 신에너지 개발 및 도입선의 다변화 등 자원 선점
알제리 2006.03.11.-13.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Abdulaziz Bouteflika
인프라 건설 및 알제리 민영화 과정에 한국기업의 참여 확대 및 IT분야 육성에 관한 협력
해상유전개발 본계약 체결 등 포괄적인 에너지·자원 협력관계 구축
이명박 남아공 2011.07.02.-07. 제이콥 주마
Jacob Gedleyihlekisa Zuma
에너지, 경제협력 방안 논의, 우리기업 진출 지원
콩고민주공화국 2011.07.07.-08. 조세프 카빌라
Joseph Kabila Kabange
인프라 건설, 자원개발, 국가개발전략수립 지원,
문화교류 증진
에티오피아 2011.07.08.-11. 멜레스 제나위
Meles Zenawi Asres
교역 및 투자 확대, 개발경험 공유 및 상생협력 관계 구축, 글로벌 이슈 논의, 참전용사 후손 지원방안 협의
박근혜 에티오피아 2016.05.25.-28.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Hailemariam Desalegn Boshe
평화·안보, 기후변화 대응, 교역 및 투자, 인프라 및 건설, 과학기술협력, 개발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 및 북한 문제 등 지역정세에 관한 의견 교환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정무, 경제, 개발, 과학기술,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호혜와 상생의 포괄적 협력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의지 확인 및 양국 관계를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
우간다 2016.05.28.-30. 요웨리 무세베니
Yoweri Kaguta Museveni
양국협력 관계를 평가, 인프라·에너지, 과학기술·ICT 협력, 문화·교육 협력 등 다양한 제반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 및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한 의견 교환
기존 개발협력 중심의 관계를 경제, 군사, 문화 등 실질 분야로 확대함으로써 새로운 양국관계의 기반을 마련 및 북한의 전통적 우방국인 우간다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전략적 토대 마련
케냐 2016.05.30.-06.01. 우후루 케냐타
Uhuru Kenyatta
양국관계 발전 방향, 경제협력 및 개발협력, 북한 핵문제 및 역내 평화·안보 협력 등에 대한 의견 교환
20건의 경제분야 MOU 체결 (상수도·홍수경보 물관리 인프라 사업을 포함해 지역발전소 3기 건설 사업 등을 수주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및 약 80만㎡(24만평) 크기의 한국형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 논의)
문재인 이집트 2022.01.20.-21. 압델 파타 엘시시
Abdel Fattah el-Sisi
이집트 신행정수도 건설, 지역경제 발전, 공공거버넌스 역량 강화 등을 위한 협력을 확대 논의 및 교육·인프라 등   핵심 분야에서 양국 개발 협력 지속 협의

국가협력전략 (CPS)

국가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은 개별 중점협력국에 대한 지원 목표, 중점협력분야 및 지원 계획 등을 담은 중장기 ODA 지원 전략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수원국과 긴밀히 소통하는 가운데 국가협력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양국간 중장기 개발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고 ODA의 효과성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는 수원국 국가발전전략과 대한민국 국가협력전력의 적용 주기를 일치시킴으로써 지원의 일관성 및 효과성을 제고해나가고 있다. 현재 아프리카에 대한 대한민국의 ODA 중점협력국은 7개국이며, 해당 국가들에 대해 모두 CPS가 수립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기간별 아프리카 국가 CPS

1차 CPS (2011-2015) 2차 CPS (2016-2020) 3차 CPS (2021-2025)
가나, 나이지리아, 르완다, 모잠비크, 에티오피아, 우간다,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르완다, 모잠비크,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탄자니아
가나, 르완다, 세네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탄자니아

가나

① 농가소득 증대 및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한 농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② 모자보건 포함 국민보건 증진을 위한 보편적 의료서비스 확대에 기여
③ 보다 많은, 보다 질 높은 공평한 교육기회 제공을 위한 교육의 접근성 제고에 기여
④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전력 생산 및 사용에 기여
⑤ 서아프리카 교통 허브로 도약을 위한 교통 인프라 확충에 기여

르완다

①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국가발전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농업의 부가가치 향상을 통해 국가 산업 구조를 2차(가공) 및 3차(서비스)로 다변화 촉진
② 기초 학습역량 및 노동시장 수요에 부합한 인력양성을 통해 르완다 산업 발전에 기여
③ 전자정부 도입을 통한 행정효율화 및 ICT 활용역량 강화를 통한 ICT의 활용성 및 수용성 강화

세네갈

① 농어촌지역개발을 통한 균형적 경제발전 기여
②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기반 구축
③ 보건의료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한 보편적 삶의 질 향상
④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한 경제발전 기반 구축

에티오피아

① 농어촌지역개발을 통한 균형적 경제발전 기여
②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기반 구축
③ 보건의료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한 보편적 삶의 질 향상
④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한 경제발전 기반 구축

우간다

① 농업역량강화 및 지역개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② 전문기술인력 양성 및 기초교육증진을 통한 지속가능한 인적 지원 배양
③ 모자보건, 소녀보건 및 지역보건 증진을 통한 인적자원 강화

이집트

① 교통인프라 확충 및 물류체계 개선을 통한 지역경제 균형성장 촉진
② 기후변화 완화, 적응 관련 대응능력 제고 및 오염원 통합관리 지원
③ 정보통신기술기반 공공행정 시스템 구축 및 고품질 서비스 제공
④ 양질의 고등교육 기관 구축, 직업기술 교육, 인적자원 개발

탄자니아

① 교통인프라 확충 및 물류체계 개선을 통한 지역경제 균형성장 촉진
② 기후변화 완화, 적응 관련 대응능력 제고 및 오염원 통합관리 지원
③ 정보통신기술기반 공공행정 시스템 구축 및 고품질 서비스 제공
④ 양질의 고등교육 기관 구축, 직업기술 교육, 인적자원 개발